불멸의 참 자아가 주는 영원의 희열
• 47 Protokoll, 39 Sekunden 거대 서사시, 호메로스의 『일리아드』를 읽는다
아킬레우스는 왜 분노했는가? 트로이아 전쟁을 통해 본 인류 보편성에 대한 성찰
• 24 Protokoll, 57 Sekunden 니체,『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』 핵심 사유
실존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시원, 니체 후기 사유의 핵심속으로
• 29 Protokoll, 28 Sekunden 꿈이 난해한 이유
7.11.2014 • 18 Protokoll, 57 Sekunden 권력욕이 부른 참극, 맥베스
8.8.2014 • 30 Protokoll, 46 Sekunden 미국 반문화의 경전, J.D.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
미국 반문화의 경전, J.D.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
11.7.2014 • 18 Protokoll, 23 Sekunden 뽑아 읽는 논어 강독 - 배움이란 무엇인가?
27.6.2014 • 18 Protokoll, 1 Sekunde 4.19혁명의 뒤안길에서 고뇌하는 시인, 김수영
4.19혁명의 뒤안길에서 고뇌하는 시인, 김수영
23.5.2014 • 16 Protokoll, 37 Sekunden 닮은 듯 다른 한옥에서 발견하는 즐거움
1.2.2013 • 30 Protokoll, 29 Sekunden 닮은 듯 다른 한옥에서 발견하는 즐거움
1.2.2013 • 29 Protokoll, 56 Sekunden 닮은 듯 다른 한옥에서 발견하는 즐거움
1.2.2013 • 30 Protokoll, 32 Sekunden 경제학자의 눈으로 바라본 인문학
30.1.2013 • 30 Protokoll, 8 Sekunden 3천 년 전 고대 주나라 땅에서 불려졌던 노래모음집 『시경』을 읽는다.
• 23 Protokoll, 53 Sekunden 신자유주의 시대에 다시 부각된 마르크스 『자본』의 재구성
자본의 혈통과 부의 실체를 추적한다.
• 17 Protokoll, 56 Sekunden 블로그와 트위터 : 독설닷컴 고재열이 들려주는 21세기 소통
인터넷 대안 미디어 '블로그'와 소셜 미디어 '트위터'에 대한 이해와 활용
• 21 Protokoll, 18 Sekunden 모방과 발견의 역사로 본 미술
• 58 Protokoll, 27 Sekunden 자유주의vs공동체주의
• 27 Protokoll, 27 Sekunden 생명의 진화-진화론은 다윈 이전에도 있었다?
21.11.2014 • 21 Protokoll, 21 Sekunden 링컨이 노예를 해방시킨 진짜 이유는 경제에 있었다
링컨이 노예를 해방시킨 진짜 이유는 경제에 있었다
14.11.2014 • 16 Protokoll, 2 Sekunden 진보인가 복고인 가, 정조의 개혁 정치
31.10.2014 • 27 Protokoll, 13 Sekunden 프로이트의 사랑 분석:나르시시즘적 동일화
24.10.2014 • 19 Protokoll, 13 Sekunden 나의 조각난 세계를 메워주는 존재, 타자
17.10.2014 • 22 Protokoll 지혜와 전쟁의 여신, 아테나
10.10.2014 • 22 Protokoll 감성 광고: 감성 시대의 크리에이티브 퍼블리시티
감성 광고: 감성 시대의 크리에이티브 퍼블리시티
26.9.2014 • 16 Protokoll, 38 Sekunden 미자의 시 쓰기는 무엇을 의미하는가, 이창동의 시
미자의 시 쓰기는 무엇을 의미하는가, 이창동의 시
19.9.2014 • 16 Protokoll, 22 Sekunden 지배 계급에 도전한 광대 이야기, 베르디의 리골레토
지배 계급에 도전한 광대 이야기, 베르디의 리골레토
12.9.2014 • 14 Protokoll, 53 Sekunden 현대 예술의 선구, 인상주의 - 진중권
5.9.2014 • 26 Protokoll, 33 Sekunden 기괴하고 낮선 형상, 그로테스크의 변천사
29.8.2014 • 19 Protokoll, 26 Sekunden 사기는 왜 위대한 역사서인가?
22.8.2014 • 22 Protokoll, 37 Sekunden 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벌: 죄의식에 대한 탐구
25.7.2014 • 22 Protokoll, 31 Sekunden 죽음 사냥의 작가,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일생
18.7.2014 • 27 Protokoll, 44 Sekunden 칸트의 도덕 법칙: 무엇이 선하고 무엇이 악한가?
칸트의 도덕 법칙: 무엇이 선하고 무엇이 악한가?
4.7.2014 • 20 Protokoll, 6 Sekunden 유토피아의 저자, 토마스 모어의 삶과 신념
18.6.2014 • 25 Protokoll, 7 Sekunden 미셸 푸코가 말하는 지식과 권력의 관계
11.6.2014 • 23 Protokoll, 21 Sekunden 들뢰즈 식으로 세상을 이해하기
4.6.2014 • 19 Protokoll, 11 Sekunden 닮은 듯 다른 한옥에서 발견하는 즐거움
1.2.2013 • 29 Protokoll, 36 Sekunden 강신주의 인문학 카운슬링
31.1.2013 • 32 Protokoll, 11 Sekunden 강신주의 인문학 카운슬링
31.1.2013 • 27 Protokoll, 35 Sekunden 경제학자의 눈으로 바라본 인문학
30.1.2013 • 30 Protokoll, 33 Sekunden 경제학자의 눈으로 바라본 인문학
30.1.2013 • 28 Protokoll, 39 Sekunde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