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맙습니다. 죄송합니다. 감사합니다.
31.8.2022 • 5 Protokoll, 1 Sekunde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
10.7.2022 • 1 Stunde, 5 Protokoll, 52 Sekunden ep66-1. 정담 때문에 녹음이 늦어졌습니다.
이 모든게 다 정담 때문입니다.
10.7.2022 • 15 Protokoll, 15 Sekunden ep65-2. 방랑 수학자 에르되시 팔 (2부)
에르되시 팔 두 번째 이야기
10.7.2022 • 1 Stunde, 3 Protokoll, 16 Sekunden .
10.7.2022 • 10 Protokoll, 15 Sekunden 헝가리 수학자 에르되시 팔의 생애
10.7.2022 • 1 Stunde, 6 Protokoll, 37 Sekunden 전국수학교사모임
10.7.2022 • 22 Protokoll, 26 Sekunden 안희경 선생님 강연회 (feat. 정연순 변호사)
안희경 선생님 강연
10.7.2022 • 1 Stunde, 32 Protokoll, 48 Sekunden ^^
10.7.2022 • 37 Protokoll, 52 Sekunden A4 용지의 크기는 왜 297 x 210 인가?
10.7.2022 • 44 Protokoll, 46 Sekunden 청취자 사연 소개
10.7.2022 • 22 Protokoll, 7 Sekunden 사인법칙 코사인법칙과 삼각측량으로 만들어낸 카시니의 프랑시 지도 이야기
10.7.2022 • 1 Stunde, 28 Sekunden .
10.7.2022 • 23 Protokoll, 49 Sekunden 한국의 수학자 이임학 2부
10.7.2022 • 54 Protokoll, 26 Sekunden 구의 겉넓이와 부피
10.7.2022 • 31 Protokoll, 6 Sekunden 한국의 수학자 이임학 1부
10.7.2022 • 52 Protokoll, 27 Sekunden 발칙한 수학책 광고
10.7.2022 • 48 Protokoll, 50 Sekunden 조선 수학자 홍정하의 생애
10.7.2022 • 1 Stunde, 4 Protokoll, 54 Sekunden .
10.7.2022 • 38 Protokoll, 26 Sekunden 원, 타원, 쌍곡선, 포물선에 관한 이야기
10.7.2022 • 45 Protokoll, 32 Sekunden 강연 후기
10.7.2022 • 18 Protokoll, 31 Sekunden 독립사건과 종속사건의 의미
10.7.2022 • 55 Protokoll, 4 Sekunden 강연안내
10.7.2022 • 26 Protokoll, 51 Sekunden 골드바흐의 약한 추측은 어떻게 증명되었나?
골드바흐 추측에 관한 소설 이야기
10.7.2022 • 59 Protokoll, 50 Sekunden 청취자 여러분 감사합니다.!
10.7.2022 • 39 Protokoll, 3 Sekunden 자연로그와 e의 역사적 배경
10.7.2022 • 1 Stunde, 1 Minute, 51 Sekunden 적콩무가 책으로 나왔습니다.
10.7.2022 • 40 Protokoll, 59 Sekunden 피타고라스 못다한 이야기 두 번째 이야기
10.7.2022 • 1 Stunde, 2 Protokoll, 5 Sekunden 잡담 및 메일 소개
10.7.2022 • 1 Stunde, 8 Protokoll, 52 Sekunden 피타고라스 그 못다한 이야기
10.7.2022 • 1 Stunde, 6 Protokoll, 48 Sekunden 가우스 두 번째 이야기
10.7.2022 • 1 Stunde, 19 Protokoll, 24 Sekunden 3대 수학자 중 한 명인 가우스의 생애
10.7.2022 • 1 Stunde, 29 Protokoll, 32 Sekunden 수학적 원리로 배우자를 찾아보자
10.7.2022 • 59 Protokoll, 48 Sekunden 불완전했던 미적분 이야기
10.7.2022 • 1 Stunde, 24 Protokoll, 49 Sekunden 프랑스 수학자 오귀스탱 코시의 생애
10.7.2022 • 1 Stunde, 10 Protokoll, 39 Sekunden 영화 cube에 담긴 수학 이야기
10.7.2022 • 1 Stunde, 33 Protokoll, 41 Sekunden 수학의 정석 2부
10.7.2022 • 46 Protokoll, 29 Sekunden 수학의 정석 1부
10.7.2022 • 52 Protokoll, 22 Sekunden 여러 종류의 평균에 담긴 의미
10.7.2022 • 1 Stunde, 24 Protokoll, 52 Sekunden 정다면체에 담긴 신비로운 이야기
10.7.2022 • 1 Stunde, 13 Protokoll, 4 Sekunden ep43. 러셀의 유형이론 /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
수학은 완전하지 않다.
10.7.2022 • 1 Stunde, 33 Protokoll, 6 Sekunden 수학이 모순적이다?! 러셀의 역설
10.7.2022 • 1 Stunde, 12 Protokoll, 23 Sekunden ep41. 버트란드 러셀 - 수학은 모순없이 완벽한가?
수학이 완전하지 않음을 느낀 러셀
10.7.2022 • 1 Stunde, 10 Protokoll ep40. 버트란드 러셀, 수학이 궁금해서 죽지 못하다.
영국 수학자 러셀의 유년기
10.7.2022 • 1 Stunde, 39 Protokoll, 16 Sekunden 인수분해의 의미
다항식의 의미
10.7.2022 • 1 Stunde, 3 Protokoll, 9 Sekunden 메일 소개
10.7.2022 • 29 Protokoll, 15 Sekunden 푸앵카레 추측을 해결한 공로로 받게 된 필즈상,
하지만 그 상을 거부한 페렐만
10.7.2022 • 54 Protokoll, 58 Sekunden 서스턴의 기하화 추측
차원의 벽을 깬 남자 스티븐 스메일 등
푸앵카레 추측에 도전장을 내민 수학자들 이야기
10.7.2022 • 1 Stunde, 4 Protokoll, 22 Sekunden ep36. 푸앵카레 추측, 우주는 어떻게 생겼나?
이 질문은 우리를 저 머나먼 곳으로 데려다 줄 것이다.
10.7.2022 • 1 Stunde, 4 Protokoll, 27 Sekunden ep35. 르네 데카르트, 인류를 위해 처음으로 이성의 권리를 쟁취하다.
생각한다, 고로 존재한다.
르네 데카르트
10.7.2022 • 1 Stunde, 14 Protokoll, 22 Sekunden 기하학과 수학, 그 관계에 대하여
10.7.2022 • 1 Stunde, 4 Protokoll, 48 Sekunden 작도의 의미
10.7.2022 • 55 Protokoll, 50 Sekunden 영국 수학자 앨런 튜링과 2차 세계대전
그의 비극적인 삶
영화 이미테이션 게임
10.7.2022 • 1 Stunde, 9 Protokoll, 45 Sekunden 미적분은 누가 먼저 발명하였나?
10.7.2022 • 1 Stunde, 24 Protokoll, 43 Sekunden 독일 수학자 라이프니츠와
영국 수학자 아이작 뉴턴의 생애
10.7.2022 • 1 Stunde, 11 Protokoll, 38 Sekunden 프랑스 수학자 푸리에의 인생역정
푸리에 급수
10.7.2022 • 1 Stunde, 9 Protokoll, 36 Sekunden 연속과 불연속이 가지는 의미
10.7.2022 • 48 Protokoll, 12 Sekunden 파스칼과 확률론의 태동
10.7.2022 • 58 Protokoll, 55 Sekunden ep26. 수학신동 파스칼 / 우리는 공기의 바다아래 살고 있다.
수학신동 블레즈 파스칼의 생애
그리고 대기압의 존재
10.7.2022 • 1 Stunde, 35 Sekunden 연금복권
수학적귀납법
10.7.2022 • 1 Stunde, 2 Protokoll, 56 Sekunden ep24. 리만 가설, 소수의 비밀은 밝혀질 것인가?
밀레니엄 7대 난제, 리만 가설 이야기
10.7.2022 • 56 Protokoll, 45 Sekunden 이탈리아 수학자 피보나치와 그가 만든 피보나치 수열
10.7.2022 • 1 Stunde, 2 Protokoll, 17 Sekunden [강연] 청춘 그 길을 묻다. (정연순 변호사, 안희경 작가) 2부
민변 출신 변호사 정연순 변호사님과
재미 칼럼니스트 안희경 작가님에게
청춘, 그 길을 묻다.
10.7.2022 • 1 Stunde, 22 Protokoll, 36 Sekunden [강연] 청춘 그 길을 묻다. (정연순 변호사, 안희경 작가) 1부
민변 출신 변호사 정연순 변호사님과
재미 칼럼니스트 안희경 작가님에게
청춘, 그 길을 묻다.
10.7.2022 • 58 Protokoll, 57 Sekunden ep22. 수포유발단원 삼각함수 / 필즈상 이야기
삼각함수가 아니라 원함수이다?!
수학계의 노벨상, 필즈상 이야기
10.7.2022 • 1 Stunde, 11 Protokoll, 9 Sekunden 오일러를 읽고 또 읽어라, 그는 우리 모두의 스승 이다.
10.7.2022 • 53 Protokoll, 59 Sekunden 가장 많은 수학 논문을 담긴
스위스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
10.7.2022 • 1 Stunde, 6 Protokoll, 13 Sekunden 아킬레우스는 절대로 거북이를 추월할 수 없다?!
무한이 더한다고 무한히 커지는 것은 아니다.
10.7.2022 • 44 Protokoll, 26 Sekunden ep18. 칸토어, 수학의 본질은 그 자유로움에 있다.
게오르그 칸토어의 생애와 업적
대각화 논법
10.7.2022 • 1 Stunde, 4 Protokoll, 57 Sekunden ep17. 팔림프세스트, 양피지의 비밀 / 조건부 확률
옛날 고대 그리스 사람들의 업적은 어떻게 전해지는가?
조건부 확률의 의미
10.7.2022 • 54 Protokoll, 32 Sekunden ep16. 세상에서 가장 긴 자, 삼각비 / 사람에게는 얼마만큼의 땅이 필요한가?
sin, cos, tan 삼각비로 길이를 잴 수 있다.
톨스토이 소설에 담겨진 수학적 원리
10.7.2022 • 55 Protokoll, 36 Sekunden ep15. 숫자에 미친 피타고라스 / 행렬의 의미
피타고라스의 생애와 그 학파 이야기
행렬이란?
10.7.2022 • 59 Protokoll, 41 Sekunden 여론조사에 늘 등장하는 신뢰도 95% 표본오차 3.1%의 의미.
10.7.2022 • 1 Stunde, 5 Protokoll, 15 Sekunden ep13. 수학이 너무 좋아요, 소피 제르맹 / 수능 표준점수는 어떻게 계산할까?
프랑스 여성 수학자 소피 제르맹의 유년기 이야기
수능 표준점수의 계산법과 그 의미
10.7.2022 • 59 Protokoll, 39 Sekunden ep12. 유레카! 아르키메데스, 원넓이와 적분
3대 수학자 중 한 명인 아르키메데스의 생애
원넓이에 적분이 숨어있다.
10.7.2022 • 59 Protokoll, 17 Sekunden 평균은 믿을 만한가?
표준편차의 의미는?
10.7.2022 • 51 Protokoll, 11 Sekunden ep10. 호도법은 왜 쓸까? / 증명인듯 증명아닌 4색정리
호도법은 왜 만들어졌을까?
서로다른 영역을 구분되게 칠하게 위해선 4가지 색이면 충분하다?!
10.7.2022 • 50 Protokoll, 1 Sekunde 프랑스 수학자 갈루아의 생애
그리고
그의 업적
10.7.2022 • 58 Protokoll, 20 Sekunden ep8. 도형의 방정식 / 가난이 죽인 천재, 아벨
도형의 방정식이란?
노르웨이 수학자 닐스 헨릭 아벨
10.7.2022 • 54 Protokoll, 4 Sekunden ep7. 로또 공략하기 / 2차원의 수 복소수
로또와 확률
모든 로또 번호를 다 사면?
2 차원의 수 복소수
10.7.2022 • 57 Protokoll, 40 Sekunden ep6. 곱셈과 1은 왜 생략하나? / 몬티홀 딜레마
중학교 때 곱셈기호를 생략하는 이유는?
문자앞에 곱해진 1을 생략하는 이유는?
포르쉐를 받느냐? 염소를 받느냐?
몬티홀 문제
23.6.2022 • 52 Protokoll, 23 Sekunden 로그를 만든 네이피어의 생애.
로그를 만들게 된 이유.
23.6.2022 • 52 Protokoll, 40 Sekunden ep4. 필요조건, 충분조건 / 콩가루 집안 베르누이
명제의 역, 이, 대우
필요조건, 충분조건
베르누이 집안 이야기
23.6.2022 • 51 Protokoll, 57 Sekunden ep3. 명제, 당신이 틀렸습니다. / 로피탈 정리
명제를 배우는 이유는 무엇일까?
로피탈 정리를 만든 것은 로피탈이 아니다?!
23.6.2022 • 57 Protokoll, 29 Sekunden ep2. 집합은 왜 제일 먼저 배우는가? / 타르탈리아와 3차방정식
집합은 왜 제일 먼저 배울까?
이탈리아 수학자 타르탈리아의 인생역정
23.6.2022 • 55 Protokoll, 27 Sekunden 400년의 난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어떻게 해결되었는가?
페르마는 도대체 누구인가?
23.6.2022 • 57 Protokoll, 40 Sekunden 너무도 어렵고 힘들었던 수학.
수학이 어려웠던 건 우리의 잘못이 아니다.
13.6.2022 • 45 Protokoll, 38 Sekunden